본문 바로가기
그룹명/해외여행기

이집트여행 4 : 이집트 박물관(Egyptian Museum)

by powernomics 2023. 2. 6.

   이집트 박물관(Egyptian Museum)은 19세기 프랑스 언어학자 샹폴리용(Jean-Franois Champollion, 1790-1832)의 이집트 상형문자 해독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합니다이로 인해 이집트의 역사와 문화의 중요성이 인식되었고이집트유물의 보존 조치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1834년 이집트 유물보호국의 설립을 시작으로, 1858년 프랑스인 이집트 학자 오거스트 마리에트(Auguste Marriette: 1821-1881)가 유물감독관으로 임명되면서 본격화되었다고 합니다.  

   오거스트 마리에트(Auguste Marriette: 1821-1881)는 지배자이던 오스만 제국의 이집트 부왕 사이드 파샤(Sa'id Pasha)에게 부탁하여 1863년 블락(Bulaq)지역에 유물보관소를 건립하도록 하였고, 비로소 이렇게 이집트 박물관(Egyptian Museum)은 처음 불락(Bulaq)지역에 세워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 이후 이집트 박물관(Egyptian Museum) 케디브 아바스 헬미 2(Khedive Abbas Helmy)가 재위하던 1897년에 착공하여 1902 11 15일에 카이로(Cairo)의 타흐리르 광장 (Tahrir Square)으로 옮겨 새롭게 문을 열었다고 합니다. 

   박물관 1층 중앙홀에는 피라미드모양의 아메넴헤트 3세(Amenemhet III, BC 1818~1770)의 벤벤스톤(Benben Stone)이 있는데,

벤벤스톤(Benben Stone)은 피라미드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돌을 말하며, 오벨리스크의 삼각형 모양의 꼭대기도 벤벤스톤(Benben Stone)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벤벤(Benben)은 혼돈상태의 태초의 물(Nu)의 상태에서 형성된 흙으로 된 태초의 언덕을 말한다고 하며, 아툼(Atum)신이 벤벤(Benben) 위에 올라가서 태양을 비롯한 세상의 모든 것을 창조하였다는 신화가 내려온다고 합니다.

아메넴헤트 3세(Amenemhet III)의 벤벤스톤(Benben Stone)
아멘호테프 3세 (Amenhotep III)와 왕비의 좌상

  이집트 박물관(Egyptian Museum)은  1, 2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07개의 전시실이에 소장품의 수는 10만점 이상이 전시되어 있다고 합니다. 

  1층에는 크기나 양이 다양한 조각상들과  미라가 있던 관들이 많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고대 이집트인은 현세에 삶은 일시적이고 사후가 영원하다고 믿었기 때문에 무덤과 관을 정성을 들여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죽음 이후 영혼은 일시적으로 육체를 떠나지만 부활할 때 원래의 육체로 돌아오는데, 이때 육체가 없으면 부활할 수 없기 때문에 육체를 영구히 보존하기 위해 미라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집트의 아멘호테프 3세 밑에서 활약했던 고위 관리인 아멘호테프(왼쪽)

    나르메르 왕의 팔레트('Palette of King Narmer)는 상(上) 이집트의 왕 나르메르(King Narmer)의 하(下) 이집트 정복 과정을 그림으로 기록한 유물로서,  높이 65㎝, 너비는 42㎝ 남짓의 편편한 돌로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과정에서 얼굴 화장을 위한 팔레트로 사용되었을 것이라 추정된다고 합니다.

   팔레트의 가장 상단에는 한 쌍의 암소 머리가 장식되어 있습니다.  이 암소들은 고대 이집트 문명 초기에 널리 숭배되던 바트(Bat)라는 여신이라고 합니다. 뒷면에도 한쌍의 암소는 동일한 모습으로 새겨져 있는데, 총 4개가 새겨진 이 암소는 훗날 이집트 전역에서 가장 널리 신앙이 대상이 되는 하토르(Hathor) 여신의 모습과 닮아 있다고 합니다.

  앞면은 2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단엔 상(上)이집트의 왕관을 쓴 나르메르 왕(King Narmer)이 무릎 꿇은 적의 머리를 잡고 곤봉으로 내려치고 있습니다. 나르메르 왕(King Narmer)은 팔레트에서 가장 크게 묘사돼 있습니다. 나르메르 왕(King Narmer) 옆에 있는 작은 사람은 나르메르 왕(King Narmer)의 보좌관이라고 합니다. 나르메르 왕(King Narmer) 옆엔 매가 새겨져 있고, 그 아래에 있 식물은 파피루스이라고 합니다. 매는 상(上)이집트의 상징이고, 파피루스는 종이로 활용됐다고 합니다. 맨 아래쪽 하단 그림은 도망가는 하(下)이집트 사람들이라고 합니다.

나르메르 왕의 팔레트(Palette of King Narmer)

   앞면이 승리한 상(上)이집트라면 뒷면은 패배한 하(下)이집트를 표현했습니다. 첫 번째 단에는 하(下)이집트의 파라오로 분한 나르메르왕(King Narmer)이 앞뒤로 수행원들을 거느리고 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상(上)이집트의 파라오와 하(下)이집트의 파라오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은 왕관의 모양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단에 묘사된 인물들은 모두 크기가 제각각인데, 이것은 이 인물들의 사회적 지위가 모두 다르다는 것을 뜻한다고 합니다.

   중간엔 사자와 뱀을 합친 듯한 괴물이 서로 교차하고 맨 아래엔 소가 적의 성벽을 들이받으며 한 남자를 밟고 있는데, 이는 치열했던 전투 현장을 묘사한 것이라고 합니다.

   맨 하단부는 황소로 분한 파라오가 한 도시의 외벽을 무너뜨리고 적들을 공격하고 있는 장면이 그려져 있습니다. 강력한 힘을 의미하는 황소는 이후로도 오래도록 파라오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나르메르 왕의 팔레트(Palette of King Narmer)

   1층에 거대한 석상들이 많이 전시되어 있는데, 석상의 모습이 어떤 것은 걷고 있는 듯한 움직이는 모습의 석상이 있고, 또 다른 모습은 팔을 엑스자로하여 가슴을 감싸고 다리가 모아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걷는듯한 석상은 파라오가 살아있을 때 만든 것이고, 팔을 엑스자로하여 가슴을 감싸고 다리가 모아진 석상은 파라오가 죽었을 때 만들어 미라의 모습을 석상으로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라호텝(Rahotep) 과 아내 노프레(Nofret) 부부상은 라호텝(Rahotep)의 마스타바(무덤) 안에서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살아 있는 듯한 생생한 모습과 특히, 크리스탈로 조각된 눈의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왼손은 파피루스 두루마리를 잡고 있고 오른손은 펜을 잡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 앉아 있는 고대 이집트 서기 조각상은 실제로 눈앞에서 살아있는 사람을 보는 듯하게 얼굴의 표정 하나하나가 생생합니다. 서기 조각상은 이집트 지폐의 도안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제4왕조 왕자 라호텝(Rahotep)과 아내 노프레(Nofret) 부부상(좌), 제5왕조 시대의 서기조각상(가운데), 니안크페피(Niankhpepi) 하인의 전신입상(우)

  핫셉수트(Hatshepsut) 여왕의 거대 얼굴상은 핫셉수트(Hatshepsut) 여왕의 장제전의 기둥장식인 오시리스 모양의 조각상으로, 핫셉수트(Hatshepsut) 여왕의 얼굴이지만 남성이자 오시리스 신의 모습으로 표현된 조각상이라고 합니다.

  핫셉수트(Hatshepsut) 여왕은 고대 이집트 제18왕조의 다섯 번째 파라오이자 최초의 여왕으로서 핫셉수트(Hatshepsut) 란 '가장 고귀한 숙녀'라는 의미라고 합니다.  핫셉수트(Hatshepsut)는 남편 투트모세 2세(Thutmose II, B.C 1482경~1479) 가 죽은 뒤 어린 투트모세 3세(Thutmose III,  B.C 1477~1423)의 섭정을 하였으나, 후에 스스로 파라오가 되었다고 합니다.

핫셉수트(Hatshepsut) 여왕의 거대 얼굴 조각상
멘카우레(Menkaure, B.C 2575~2465경)와 하토르 여신, 바트여신이 함께 있는 조각

  이집트 고왕국 6왕조 시대의 가짜문(False Door)은 육신은 통괄 수 없으나 영혼은 통과할 수 있는 문으로서, 현세와 내세를 구분하는 문이라고 합니다.

이집트 고왕국 6왕조 시대의 가짜문(False Door)
하셉수트 여왕(Hatshepsut, B.C 1503-1483)의 얼굴을 한 스핑크스(왼쪽) 아메넴헤트 3세(Amenemhet III)의 얼굴을 한 스핑크스(오른쪽)

   2층에는 소규모의 조각상과 보석류, 투탕카멘(Tutankhamun, B.C 1333~1323)의 유품 등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특히 2층 전시실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투탕카맨(Tutankhamun)의 무덤에서 나온 유물들입니다. 투탕카맨(Tutankhamun)은

이집트 제18왕조 12대 파라오로서 18세에 요절하여 역사에서 사라졌기 때문에 알려진 것이 많지 않은데, 그의 무덤은 룩소르(Luxor) 서안 왕가의 계곡(Valley of the Kings)에서 유일하게 도굴당하지 않은 채 많은 유물이 발견이 되었습니다. 그 많은 투탕카맨(Tutankhamun)의 유물 중 11kg의 황금으로 만들어진 투탕카멘 황금 마스크(The Death Gold Mask of Tutankhamun)가 매우 유명합니다.

각종 보석 전시품

   2층에는 투탕카맨(Tutankhamun, B.C 1333~1323)의 무덤에서 나온 휘황찬란한 다양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는데, 투탕카맨(Tutankhamun)의 무덤을 지키고 있었다는 아누비스(Anubis) 상을 비롯하여, 황금 빛 투탕카멘의 입상, 투탕카맨(Tutankhamun)의 장기를 담는 카노푸스 단자(Canopic jar), 투탕카맨(Tutankhamun)황금 의자, 카노푸스 단자(Canopic jar)를 보관하는 황금 사당, 투탕카맨(Tutankhamun)의 마차 등 그 화려함에 감탄이 절로 나왔습니다. 투탕카맨(Tutankhamun)의 미라는 룩소르(Luxor) 서안의 왕가의 계곡(Valley of the Kings)에 위치한 자신의 무덤에 전시되고 있고, 다른 유물들은 전부 이곳 이집트 박물관(Egyptian Museum)으로 옮겨왔다고 합니다.

 그러나 너무나도 아쉽게도 투탕카맨(Tutankhamun)의 유물 중 황금마스크를 비롯하여 박물관 별도 내실에 전시되어 있는 투탕카맨(Tutankhamun)의 유물은 사진촬영이 금지되어 있어서 카메라에 담지를 못했습니다.

   아누비스(Anubis)는 이집트 신화에서 죽은자를 미라의 형태로 만들어 사후세계로 인도하는 망자의 신으로서, 개 또는 자칼의 머리 부분을 가지는 반수의 모습이거나 또는 자칼 그 자체의 모습으로 등장한다고 합니다. 개 또는 자칼이 망자의 신이라는 이미지는 고대 이집트에서 사체의 고기를 얻기 위해 묘지 주위를 배회하는 개나 자칼의 모습이 마치 죽은 자를 지켜주는 것이라고 착각되어 전해져왔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투탕카멘(Tutankhamun)의 무덤을 지키고 있었다는 아누비스(Anubis) 상
황금 빛 투탕카멘(Tutankhamun)의 입상
투탕카맨(Tutankhamun) 의 장기를 담는 카노푸스 단자( Canopic jar)
카노푸스 단자(Canopic jar)를 보관하는 황금 사당
투탕카맨(Tutankhamun)의 황금 의자
투탕카맨(Tutankhamun) 의 마차

   2층 한쪽 구석에 아모세 메리타문(Ahmose-Meritamun)의 무덤에서 발굴된 유물들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아모세 메리타문(Ahmose-Meritamun)은 이집트 제18 왕조 파라오 아멘호텝 1세(Amenhotep I, B.C 1525-1504)의 누나이자 아내였다고 합니다. 아모세 메리타문(Ahmose-Meritamun)의 무덤은 1929년 미국 고고학자 허버트 윈록(Hervert Winlock)에 의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아모세 메리타문(Ahmose-Merytamun)의 무덤에는 원래 3개의 관이 있었다고 하는데, 가장 바깥 쪽에 있는 관은 도굴범에 의해 부서졌고,  중앙에 있었던 관은 현재 이곳에 전시되어 있으며, 가장 안쪽에 위치했던 관은 현재 국립 이집트 문명 박물관(The National Museum of Egyptian Civilization)에 소장되어 있다고 합니다. 

   고대 이집트는 너무나 방대한 시간의 틀과 지리학적 지역을 아우르기에 그 어떤 국가의 유물보다도 유물의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대 이집트 유물이 전시된 이집트 박물관(Egyptian Museum)은 고대 이집트의 미술과 고고학적 유물의 보고로서 양과 질적인 면에서 세계 최고의 수준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해마다 150만명 이상의 내외국인 관광객이 이 박물관을 찾고 있는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오늘 기원전 수천년 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해오는 이집트 박물관(Egyptian Museum)의 각 유물 관람을 통해 고대 이집트 문명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경험할 수 있어서 매우 좋았습니다.

댓글